누구나 한번쯤 입냄새로 고민해봤을 것입니다.

본인은 자신의 냄새를 잘 모르기 때문에 오랫동안 구취를 방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과 상대방 모두가 조심스러운 ‘입 냄새’는 기본적으로는 끼니 거르는 습관,자극적인 음식등에서 유발됩니다.

입 안의 박테리아가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휘발성 황화합물로 인해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말하는데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김정현 교수는 “전신질환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입안에 냄새의 원인이있다”고 했습니다.

 

입냄새의 원인

-입안이 건조하게 되면 세균들이 번식하기 쉬워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짜장면을 먹거나 담배나 커피 등을 마시면 입이 건조해져서 냄새가 나게 됩니다.

 

 

 

 

 

-충치나 잇몸에 염증이 생기면 그로인해 입에서 냄새가 납니다. (입 안의 위생이 불량하여 세균이 번식하게 되면 출혈이나 고름등이 냄시의 원인이 됩니다. -음식물의 단백질이 세군에 의해 부패가 되면서 악취가 나기도 합니다.

-설태에 의해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단백질음식, 컨디션이 좋지 않을때 등 혀 돌기의 틈새에 세균이 증식을 하여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건강 상태가 나쁠때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당뇨병, 위장질환, 간질환, 신장질환, 편도선 등 여러 이유가 있으며 냄새가 지속되면 질병이 있음을 파악하고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냄새가 나는 음식을 섭취할때에 나기도 합니다. (마늘, 김치,등 음식 자체에서 나는 냄새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먹은 음식중 위와 대장을 통해 소화된 대사물질은 피 속으로 흡수돼 숨 쉴때 밖으로 배출되는데 양파와 마늘 술등 향이 강한 음식을 먹은 후 에는 양치질을 해도 냄새가 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잇몸질환(치주염), 충치나 오래된 보철물 하방의 치태 세균, 설태(혀 표면이 하얗게 혹은 검게 변하거나 털이 난 것처럼 보이는 증상)에 의해 주로 생깁니다.

-틀니나 치아 교정장치와 같은 치과 보형물에 치태와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면 부패해 구취를 야기합니다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 입 냄새가 나는 것은 자는 동안 침이 적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침이 적으면 세균이 혀와 치아 표면에서 빠르게 증식되고 밤새 고여 있던 침의 산도가 높아지면서 입안에 남아 있던 음식물 찌꺼기나 잇몸의 단백질을 부패시키는 것도 원인입니다.

-다이어트로 끼니를 자주 거르거나 금식을 하는 사람한테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를 할때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면 탄수화물 대신 지방이 분해되면서 냄새를 유발하는 케톤이라는

화학물질이 생성되는데 이 케톤이라는 물질이 호흡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면서 입 냄새가 납니다. 이때는 가벼운 식사나 과일 주스를 섭취하면 구취가 완화될 수 있습니다.

-자극적인 음식도 구취를 유발합니다.

 

제거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양치질을 자주 하여 입안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해 줍니다.

-양치질을 해도 빠지지 않는 찌꺼기는 치실을 사용하여 제거를 해줍니다.

 

-과음이나 흡연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과에서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충치 치료와 잇몸치료를 받고 스케일링을 해줍니다.

 

-마늘, 양파,우유, 육류 등 입냄새의 원인이 되는 음식의 섭취를 줄입니다.

-입안이 건조하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셔주거나 박하사탕이나 무설탕 껌을 씹어 침 분비를 도 도와주도록 합니다.

-혀의 설태를 깨끗하게 제거해 줍니다.

 

-다이어트 때문에 아침을 거르거나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지 않습니다. 규칙적으로 아침식사를 하는 게 도움이 되는데

아침식사는 혀 표면의 설태를 없애고 침 분비를 촉진시켜줍니다.

-구강건조증을 야기하는 약을 끊습니다 .

-편도선 축종증 비염과 같은 코 쪽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빈인후과적인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룰루랄라~~~
,